문제
[원문 링크]
해설
공장의 벨트 갯수, 선물 갯수, 그리고 선물의 ID와 무게를 주고, 각각의 연산을 처리하는 문제였다.
선물 상자를 가운데서 빼오거나, 모든 선물 상자를 다른 벨트로 옮기는 등의 연산이 있었기 때문에, 배열이 아닌 연결 리스트 자료구조를 사용했다.
또 각각의 벨트의 상태가 다르고, 놓여있는 상자들도 다르기 때문에 벨트를 class로 만들어 인스턴스를 찍어냈다.
상자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lass Box:
# 연결리스트 노드 생성자에 id와 무게를 추가했다.
def __init__(self, box_id, weight):
self.box_id = box_id
self.weight = weight
self.prev_box = None
self.next_box = None
# 노드의 앞과 뒤 주소를 넣어주는 메서드
def set_prev(self, prev_box):
self.prev_box = prev_box
def set_next(self, next_box):
self.next_box = next_box
# 앞의 노드와의 연결을 끊는 메서드
def cut_prev(self):
if self.prev_box == None:
return
self.prev_box.next_box = None
self.prev_box = None
# 연결리스트 중간에서 노드를 빼오는 메서드
def take_out(self):
if self.next_box:
self.next_box.prev_box = self.prev_box
if self.prev_box:
self.prev_box.next_box = self.next_box
self.next_box = None
self.prev_box = None
상자 클래스는 연결 리스트의 노드 역할이다. 상자 아이디와 무게를 저장하고, 이전 상자와 다음 상자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저장했다. 벨트 가장 앞 상자의 prev_box
와 가장 뒷 상자의 next_box
는 각각 None을 가리키도록 설정했다.
벨트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class Belt:
# 첫 상자와 끝 상자를 가리킬 변수와,
# 상자 ID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한 딕셔너리 box_dict,
# 벨트 고장 여부를 저장할 broken을 선언한다.
def __init__(self):
self.first_box = None
self.last_box = None
self.box_dict = dict()
self.broken = False
# 벨트 끝에 상자를 추가하는 메서드.
# 끝 상자와 추가할 상자를 이어주고, 벨트의 끝 상자를 추가할 상자로 바꾼다.
# 상자가 없을 때 호출 된다면, 첫 상자를 해당 상자로 설정한다.
def add_box(self, this_box):
self.box_dict[this_box.box_id] = this_box
if not self.first_box:
self.first_box = this_box
if self.last_box:
self.last_box.set_next(this_box)
this_box.set_prev(self.last_box)
self.last_box = this_box
# 벨트 가장 앞 상자를 빼는 메서드. 두 번째 상자를 첫 상자로 바꾸고, 앞 상자와의 연결을 끊어준다.
# 상자가 1개 일 때 호출 된다면 끝 상자도 None으로 바꿔준다.
def pop_box(self):
box_to_pop = self.first_box
self.first_box = box_to_pop.next_box
if self.first_box:
self.first_box.cut_prev()
else:
self.last_box = None
del self.box_dict[box_to_pop.box_id]
return box_to_pop
벨트 클래스에서는 벨트 위의 첫 상자와 끝 상자를 추적하고, 상자 ID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해 딕셔너리 자료구조를 이용해 box_dict
에 저장했다. 또, 이미 망가진 벨트인지 판별하기 위해 broken
을 선언했다. 벨트의 행위는 단 두가지로, 가장 뒤에 상자를 추가하는 add_box
와, 가장 앞 상자를 빼오는 pop_box
를 추가해주었다.
팩토리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class Factory:
# 100 연산이자 생성자이다. 매개변수로 100을 제외한 모든 숫자를 한번에 받는다.
# N과 M을 분리시키고, 한 벨트당 몇 개의 상자가 들어갈지 계산해 counts 에 저장한다.
# M개의 벨트를 만들고, presents 에서 counts 만큼의 연속된 정보로 Box를 생성해 벨트에 넣어주었다.
def __init__(self, args):
N, M, *presents = args
counts = N // M
self.belts = [Belt() for _ in range(M)]
for idx, belt in enumerate(self.belts):
for num in range(idx * counts, (idx+1) * counts):
belt.add_box(Box(presents[num], presents[num+N]))
# 200 연산이다. max_weight을 매개변수로 받고, 기본 반환값은 0이다.
# 벨트를 모두 돌면서 first_box가 있는 경우, pop_box 메서드로 일단 빼온다.
# 빼온 상자가 max_weight 이하면 result에 무게를 더하고,
# 아니라면 add_box 메서드로 뒤에 그대로 다시 추가해주면 된다.
def unload(self, max_weight):
result = 0
for belt in self.belts:
if belt.first_box:
popped_box = belt.pop_box()
if popped_box.weight <= max_weight:
result += popped_box.weight
else:
belt.add_box(popped_box)
return result
# 300 연산이다. 제거할 id를 매개변수로 받고, 기본 반환값은 -1이다.
# 벨트를 돌면서 딕셔너리에 id가 있는지 확인했다.
# id를 발견하면 해당 상자가 벨트의 처음, 끝 상자인지 확인해 처리하고,
# take_out 메서드로 연결 리스트에서 빼준다.
# 딕셔너리에서는 id로 제거해주면 된다.
def remove(self, remove_id):
result = -1
for belt in self.belts:
if remove_id in belt.box_dict:
removed_box = belt.box_dict[remove_id]
if belt.first_box == removed_box:
belt.first_box = removed_box.next_box
if belt.last_box == removed_box:
belt.last_box = removed_box.prev_box
removed_box.take_out()
result = removed_box.box_id
del belt.box_dict[removed_box.box_id]
break
return result
# 400 연산이다. 찾을 id를 매개변수로 받고, 기본 반환값은 -1이다.
# 역시 벨트를 돌면서 상자를 찾는다. 반환 값이 벨트의 아이디(인덱스+1)라서 enumerate를 썼다.
# 상자를 찾으면, 그 위치가 벨트의 처음이 아닐 경우, 첫 상자와 끝 상자를 이어주고,
# 찾은 상자를 첫 상자로, 그 앞 상자를 끝 상자로 바꿔주고 둘의 연결을 끊으면 된다.
def find(self, find_id):
result = -1
for belt_id, belt in enumerate(self.belts):
if find_id in belt.box_dict:
found_box = belt.box_dict[find_id]
if belt.first_box != found_box:
belt.first_box.set_prev(belt.last_box)
belt.last_box.set_next(belt.first_box)
belt.first_box = found_box
belt.last_box = found_box.prev_box
found_box.cut_prev()
result = belt_id+1
break
return result
# 500 연산이다. 고장시킬 벨트의 아이디를 매개변수로 받고, 기본 반환값은 -1이다.
# 만약 이미 고장난 벨트가 아닐 경우, 반환 값을 벨트의 아이디로 바꾸고, 고장 상태를 True로 바꾼다.
# 그리고 그 위에 상자가 있을 경우, 고장 벨트 다음 벨트부터 차례로 돌며 정상 벨트를 찾고,
# 고장 벨트의 딕셔너리 내용을 정상 벨트 딕셔너리에 추가,
# 고장 벨트 첫 상자와 정상 벨트 끝 상자를 이어주고,
# 정상 벨트 끝 상자를 고장 벨트 끝 상자로 바꿔주면 된다.
# 고장 벨트의 첫 상자와 끝 상자도 잊지 않고 초기화 시켜줘야 한다.
def die(self, belt_id):
result = -1
belt_id -= 1
if self.belts[belt_id].broken == False:
result = belt_id+1
broken_belt = self.belts[belt_id]
broken_belt.broken = True
if len(broken_belt.box_dict):
for idx in range(belt_id, belt_id + len(self.belts)):
if self.belts[idx % len(self.belts)].broken == False:
found_belt = self.belts[idx % len(self.belts)]
found_belt.box_dict.update(broken_belt.box_dict)
broken_belt.box_dict = {}
found_belt.add_box(broken_belt.first_box)
found_belt.last_box = broken_belt.last_box
broken_belt.first_box = broken_belt.last_box = None
break
return result
팩토리 클래스는 각각의 연산들을 메소드로 정의한 것이 끝이다.
- 100은 팩토리를 만드는 생성자
- 200은 각 벨트에서 조건 무게 이하의 상자들을 빼는
unload
메서드 - 300은 벨트마다 특정 아이디를 검색해 벨트의 연결리스트에서 삭제하는
remove
메서드 - 400은 아이디 검색 후 해당 상자와 앞 상자의 연결을 끊고 first_box 와 last_box 를 연결시켜 앞으로 가져오는
find
메서드 - 500은 고장난 벨트의 first_box 와 고장 안 난 벨트의 last_box를 연결시키는
die
메서드
시뮬레이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if __name__ == "__main__":
Q = int(input().strip())
# 첫 줄은 무조건 100 연산이므로, 해당 입력으로 Factory를 생성해준다.
query, *args = map(int, input().split())
factory = Factory(args)
# if else보다 효율적으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딕셔너리로 만들었다.
queries = {
200: factory.unload,
300: factory.remove,
400: factory.find,
500: factory.die,
}
# 위의 딕셔너리로 호출한 연산을 수행한 후, 반환값을 그대로 출력하면 된다.
for _ in range(Q-1):
query, arg = map(int, input().split())
print(queries[query](arg))
마지막으로 입력을 받으며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나온 결과를 출력해주면 된다.